목록명령어 (9)
mirmond
https://librat.kr/entry/리눅스-명령어-free-메모리-사용량-확인 [리눅스 명령어] free 메모리 사용량 확인 free 명령어는 운영체제에서 사용하는 메모리와 사용하지 않는 메모리를 물리적 메모리와 스왑(SWAP 메모리등으로 구분하여 전체적으로 메모리 사용량을 확인할때 유용합니다. free [옵션] 옵션 설 librat.kr free 명령어는 운영체제에서 사용하는 메모리와 사용하지 않는 메모리를 물리적 메모리와 스왑(SWAP 메모리등으로 구분하여 전체적으로 메모리 사용량을 확인할때 유용합니다. free [옵션] 옵션 설명 -b 메모리의 양을 Byte로 표시합니다. -k 메모리의 양을 KB로 표시합니다. -m 메모리의 양을 MB로 표시합니다. -t 총계가 포함된 줄을 출력합니다. -s..
https://librat.kr/entry/리눅스-명령어-echo-지정된-문자열-출력 [리눅스 명령어] echo 지정된 문자열 출력 echo 명령어는 지정된 문자열을 출력합니다. 현재 shell의 환경변수를 확인할 때도 활용합니다. echo [옵션] [출력 문자열] 옵션 설명 -n 커서를 다음줄로 옮기는 역할을 합니다. -e \(옵션)에 설정된 librat.kr echo 명령어는 지정된 문자열을 출력합니다. 현재 shell의 환경변수를 확인할 때도 활용합니다. echo [옵션] [출력 문자열] 옵션 설명 -n 커서를 다음줄로 옮기는 역할을 합니다. -e \(옵션)에 설정된 기능을 수행합니다. 옵션 설명 \a 경고음(벨) 출력합니다. \b 백스페이스 \c 더이상 출력하지 않습니다. \n 개행 문자를 사용합..
https://librat.kr/entry/리눅스-명령어-du-디렉터리-사용량-확인 [리눅스 명령어] du 디렉터리 사용량 확인 du 명령어는 현재 디렉터리의 사용량을 표시합니다. du [옵션] 옵션 설명 -a 현재 디렉터리의 모든 파일과 하위 디렉터리의 사용량을 출력합니다. -b 바이트 크기로 사용량을 출력합니다. -h 사용자 librat.kr du 명령어는 현재 디렉터리의 사용량을 표시합니다. du [옵션] 옵션 설명 -a 현재 디렉터리의 모든 파일과 하위 디렉터리의 사용량을 출력합니다. -b 바이트 크기로 사용량을 출력합니다. -h 사용자가 보기 쉬운 형태로 정보를 표시합니다. -k 사용량을 1KB 형태로 출력합니다. -s 간단히 총 사용량만 표시합니다. -c 합계를 출력합니다. -x 체크하는 경로..
https://librat.kr/entry/리눅스-명령어-df-디스크-공간-확인 [리눅스 명령어] df 디스크공간확인 df 명령어는 파일 시스템의 디스크 공간을 확인해서 표시합니다. df [옵션] 옵션 설명 -a 모든 파일 시스템을 표시합니다. -B 지정된 크기를 블록 단위로 정하여 용량을 표시합니다. -h K[kilo] M[mega] G librat.kr df 명령어는 파일 시스템의 디스크 공간을 확인해서 표시합니다. df [옵션] 옵션 설명 -a 모든 파일 시스템을 표시합니다. -B 지정된 크기를 블록 단위로 정하여 용량을 표시합니다. -h K[kilo] M[mega] G[giga] 단위로 산출하여 표시합니다. -H 1KB를 1,000단위로 표시합니다. -i 아이노드의 남은 공간, 사용공간, 사용율 ..
https://librat.kr/entry/리눅스-명령어-date-시간명령어 [리눅스 명령어] date 시간명령어 date는 시스템의 날짜와 시간을 알려주거나 설정한다 옵션없이 사용하면 현재 시간과 날짜를 표시합니다 특정 형식을 지정하면 형식에 맞춰서 시간이 표시됩니다. date [옵션] [+형식] 구분 설명 librat.kr date는 시스템의 날짜와 시간을 알려주거나 설정한다 옵션없이 사용하면 현재 시간과 날짜를 표시합니다 특정 형식을 지정하면 형식에 맞춰서 시간이 표시됩니다. date [옵션] [+형식] 구분 설명 옵션 -d 지정된 날짜를 표시합니다. -f 지정된 파일에서 각 행에 대한 날짜를 표시합니다. -r 지정된 파일이 마지막 수정된 날짜를 표시합니다. -s 지정된 값으로 시간을 맞춥니다. 형..
https://librat.kr/entry/리눅스-명령어-cp-복사 [리눅스 명령어] cp (복사) cp 명령어는 특정 파일을 현재 디렉터리나 다른 디렉터리로 복사합니다. cp [옵션] [파일명] [파일명] 옵션 설명 -a 원본 파일의 속성, 구조 등을 그대로 유지하면서 복사합니다. -b 복사할 때 같은 librat.kr cp 명령어는 특정 파일을 현재 디렉터리나 다른 디렉터리로 복사합니다. cp [옵션] [파일명] [파일명] 옵션 설명 -a 원본 파일의 속성, 구조 등을 그대로 유지하면서 복사합니다. -b 복사할 때 같은 이름의 파일이 있으면 백업본을 만듭니다. -d 복사할 때 파일이 심볼릭 링크파일이면 심볼릭 링크의 대상파일을 복사합니다 -f 복사 대상 파일이 이미 있으면 지우고 복사합니다 -i 복사..
https://librat.kr/entry/리눅스-명령어-chgrp [리눅스 명령어] chgrp chgrp 명령어는 파일 소유 그룹을 바꾸기 위한 명령어입니다. 시스템 최고 관리자인 root만 사용할수 있습니다. chgrp [옵션] [그룹] [파일] 옵션 설명 -c 변경된 파일만 자세하게 보여줍니다. -f 오류 librat.kr chgrp 명령어는 파일 소유 그룹을 바꾸기 위한 명령어입니다. 시스템 최고 관리자인 root만 사용할수 있습니다. chgrp [옵션] [그룹] [파일] 옵션 설명 -c 변경된 파일만 자세하게 보여줍니다. -f 오류메시지를 보여주지 않습니다. -v 작업상태를 자세히 보여줍니다. -R 하위경로까지 모두 변경합니다. 명령어 예시
https://librat.kr/entry/리눅스-명령어-파이프-pipe 파이프는 앞의 명령어의 실행결과가 뒤의 명령어에 입력되도록 입출력을 연결하는 역할을 합니다. 출력재지정의 경우 하드디스크 같은 보조 기억 매체의 입출력 버퍼에 저장합니다 따라서 재지정된 명령어에 전달하기 때문에 버퍼에 저장하고 처리하는데 시간이 소요됩니다. 하지만 파이프는 여러개의 명령어가 파이프이로 실행될 때 이들 명령어가 거의 동시에 실행되면서 입출력 되는 데이터들이 파이프로 연결되어 처리되므로 상대적으로 처리시간이 빠릅니다. 파이프는 \ + shift를 눌러서 | 를 사용합니다 명령어예제 /etc/passwd에 있는root의 정보만 보고싶다면 cat 명령어와 grep명령어를 사용하면 더욱 편하게 볼 수 있습니다 ※파이프를 통해..
https://librat.kr/entry/리눅스-명령어-입출력재지정-Redirection [리눅스 명령어] 입출력 재지정 Redirection 키보드 같은 표준 입력 장치가 아닌 파일 등으로 재지정하는것을 입력 재지정이라고 하고 명령어의 실행결과나 에러메시지같이 화면에 출력되는 것을 파일 등에 저장하는 것을 출력 재지정이 librat.kr 키보드 같은 표준 입력 장치가 아닌 파일 등으로 재지정하는것을 입력 재지정이라고 하고 명령어의 실행결과나 에러메시지같이 화면에 출력되는 것을 파일 등에 저장하는 것을 출력 재지정이라고 합니다 입출력 재지정은 이용하여 표시합니다 앞에는 프로그램의 입출력 용도를 의미하는 fd번호를 기입합니다 이때 를 fd번호와 반드시 붙여서 사용합니다. fd 이름 용도 표준장치 0 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