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리눅스 (27)
mirmond
https://librat.kr/entry/리눅스-명령어-cut [리눅스 명령어] cut cut 명령어 텍스트 파일이나 파이프된 결과 중에 지정된 부분만 표시합니다. ※별도의 구분자(예 : 콜론(:), 세미콜론(;) 등)를 지정하였을 경우에는 지정한 구분자를 기준으로 표시한다. cut [옵션] librat.kr cut 명령어 텍스트 파일이나 파이프된 결과 중에 지정된 부분만 표시합니다. ※별도의 구분자(예 : 콜론(:), 세미콜론(;) 등)를 지정하였을 경우에는 지정한 구분자를 기준으로 표시한다. cut [옵션] [파일] 옵션 설명 -b 바이트 단위로 나타냅니다 -c 문자 단위로 나타냅니다 -d 기본 필드 구분자인 탭 대신 지정된 구분자를 이용합니다. -f 지정된 필드만 구성하여 표시합니다 -s 필드 구..
https://librat.kr/entry/리눅스-명령어-cp-복사 [리눅스 명령어] cp (복사) cp 명령어는 특정 파일을 현재 디렉터리나 다른 디렉터리로 복사합니다. cp [옵션] [파일명] [파일명] 옵션 설명 -a 원본 파일의 속성, 구조 등을 그대로 유지하면서 복사합니다. -b 복사할 때 같은 librat.kr cp 명령어는 특정 파일을 현재 디렉터리나 다른 디렉터리로 복사합니다. cp [옵션] [파일명] [파일명] 옵션 설명 -a 원본 파일의 속성, 구조 등을 그대로 유지하면서 복사합니다. -b 복사할 때 같은 이름의 파일이 있으면 백업본을 만듭니다. -d 복사할 때 파일이 심볼릭 링크파일이면 심볼릭 링크의 대상파일을 복사합니다 -f 복사 대상 파일이 이미 있으면 지우고 복사합니다 -i 복사..
https://librat.kr/entry/리눅스-명령어-chgrp [리눅스 명령어] chgrp chgrp 명령어는 파일 소유 그룹을 바꾸기 위한 명령어입니다. 시스템 최고 관리자인 root만 사용할수 있습니다. chgrp [옵션] [그룹] [파일] 옵션 설명 -c 변경된 파일만 자세하게 보여줍니다. -f 오류 librat.kr chgrp 명령어는 파일 소유 그룹을 바꾸기 위한 명령어입니다. 시스템 최고 관리자인 root만 사용할수 있습니다. chgrp [옵션] [그룹] [파일] 옵션 설명 -c 변경된 파일만 자세하게 보여줍니다. -f 오류메시지를 보여주지 않습니다. -v 작업상태를 자세히 보여줍니다. -R 하위경로까지 모두 변경합니다. 명령어 예시
https://librat.kr/entry/리눅스-명령어-chown [리눅스 명령어] chown chown 명령어는 파일 소유자 및 소유 그룹을 바꾸기 위한 명령어입니다. 시스템 최고 관리자인 root만 사용할수 있습니다. chown [옵션] [소유자].[그룹] [파일] ※그룹을 안쓰면 소유자만 바뀝니다 옵 librat.kr chown 명령어는 파일 소유자 및 소유 그룹을 바꾸기 위한 명령어입니다. 시스템 최고 관리자인 root만 사용할수 있습니다. chown [옵션] [소유자].[그룹] [파일] ※그룹을 안쓰면 소유자만 바뀝니다 옵션 설명 -c 변경된 파일만 자세하게 보여줍니다. -f 오류메시지를 보여주지 않습니다. -v 작업상태를 자세히 보여줍니다. -R 하위경로까지 모두 변경합니다. 명령어 예시
https://librat.kr/entry/리눅스-명령어-chmod [리눅스 명령어] chmod chmod는 파일, 디렉터리, 장치등의 접근 권한[퍼미션]을 바꿉니다. 접근 권한은 소유자, 소유그룹, 기타 사용자로 나누어 구분됩니다. 각 항목별로 읽기(r), 쓰기(w), 실행(x)권한을 지정할수 있습니 librat.kr chmod는 파일, 디렉터리, 장치등의 접근 권한[퍼미션]을 바꿉니다. 접근 권한은 소유자, 소유그룹, 기타 사용자로 나누어 구분됩니다. 각 항목별로 읽기(r), 쓰기(w), 실행(x)권한을 지정할수 있습니다. 접근 권한 값은 ls -al 명령어로 확인할 수 있습니다. -rw-r--r-- 분석 맨앞 -이 나타내는 것은 d이면 디렉토리 -이면 표준 파일 l이면 링크파일을 나타냅니다. rw-..
https://librat.kr/entry/리눅스-명령어-파이프-pipe 파이프는 앞의 명령어의 실행결과가 뒤의 명령어에 입력되도록 입출력을 연결하는 역할을 합니다. 출력재지정의 경우 하드디스크 같은 보조 기억 매체의 입출력 버퍼에 저장합니다 따라서 재지정된 명령어에 전달하기 때문에 버퍼에 저장하고 처리하는데 시간이 소요됩니다. 하지만 파이프는 여러개의 명령어가 파이프이로 실행될 때 이들 명령어가 거의 동시에 실행되면서 입출력 되는 데이터들이 파이프로 연결되어 처리되므로 상대적으로 처리시간이 빠릅니다. 파이프는 \ + shift를 눌러서 | 를 사용합니다 명령어예제 /etc/passwd에 있는root의 정보만 보고싶다면 cat 명령어와 grep명령어를 사용하면 더욱 편하게 볼 수 있습니다 ※파이프를 통해..
https://librat.kr/entry/리눅스-명령어-입출력재지정-Redirection [리눅스 명령어] 입출력 재지정 Redirection 키보드 같은 표준 입력 장치가 아닌 파일 등으로 재지정하는것을 입력 재지정이라고 하고 명령어의 실행결과나 에러메시지같이 화면에 출력되는 것을 파일 등에 저장하는 것을 출력 재지정이 librat.kr 키보드 같은 표준 입력 장치가 아닌 파일 등으로 재지정하는것을 입력 재지정이라고 하고 명령어의 실행결과나 에러메시지같이 화면에 출력되는 것을 파일 등에 저장하는 것을 출력 재지정이라고 합니다 입출력 재지정은 이용하여 표시합니다 앞에는 프로그램의 입출력 용도를 의미하는 fd번호를 기입합니다 이때 를 fd번호와 반드시 붙여서 사용합니다. fd 이름 용도 표준장치 0 st..